타우 입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타우 입자는 제3세대의 렙톤으로, 전자나 뮤온과 같이 점입자이며 스핀 1/2를 가진다. 타우 입자는 음전하를 띠고, 반입자는 양전하를 띤다. 타우 입자는 강입자로 붕괴하는 유일한 렙톤이며, 약 0.3 피코초의 평균 수명을 갖는다. 타우 입자는 전자, 뮤온, 중성미자 등으로 붕괴하며, 붕괴 방식에 따라 다양한 분기비를 갖는다. 타우 입자는 1970년대에 마틴 루이스 펄 연구진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타우 입자와 타우 중성미자를 발견한 공로로 펄은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타우 입자는 이국 원자를 형성할 수 있으며, 타우오늄과 디타우오늄이 그 예시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렙톤 - 전자
전자는 음전하를 띤 기본 입자로서 원자의 구성 요소이며 파동-입자 이중성을 가지고 양자역학으로 설명되며 전자기력, 약한 힘과 상호 작용하여 전자 현미경, 자유전자레이저, 반도체 기술 등에 활용된다. - 렙톤 - 양전자
양전자는 전자와 질량은 동일하지만 양전하를 띠는 반입자로, 디랙의 방정식으로 예측된 후 앤더슨에 의해 우주선 실험에서 관측되었으며, 베타 플러스 붕괴나 쌍생성을 통해 생성되고 전자와 쌍소멸하여 감마선을 방출하며, PET나 암흑물질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 기본 입자 - 전자
전자는 음전하를 띤 기본 입자로서 원자의 구성 요소이며 파동-입자 이중성을 가지고 양자역학으로 설명되며 전자기력, 약한 힘과 상호 작용하여 전자 현미경, 자유전자레이저, 반도체 기술 등에 활용된다. - 기본 입자 - 광자
광자는 전자기파의 기본 입자이자 빛의 입자적 성질을 나타내는 양자이며, 전하를 띠지 않고 에너지와 운동량을 가지며 다양한 기술 분야에 응용된다.
타우 입자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타우 |
종류 | 기본 입자 |
속성 | 페르미온 |
그룹 | 렙톤 |
세대 | 제3세대 |
상호작용 | 중력, 전자기, 약력 |
반입자 | 반타우 입자 () |
발견 | 마틴 루이스 펄 등 (1975년) |
질량 (MeV/c²) | MeV/c2 |
전하 | −1 e |
색전하 | 없음 |
스핀 | ħ |
약한 아이소 스핀 | LH: −, RH: 0 |
약한 초전하 | LH: −1, RH: −2 |
2. 분류
타우 입자는 제3세대의 렙톤이다. 전자는 1세대 렙톤이며, 뮤온은 2세대 렙톤이다. 전자나 뮤온과 같이 타우 입자는 점처럼 보인다. 즉 어떠한 구조도 보이지 않으며, 있다고 해도 10um 이하일 것이라는 것이다. 또한 전자와 뮤온과 같이 타우 입자는 1/2의 스핀을 지니고 있다. 타우 입자 및 반타우 입자는 각각 전자 및 양전자와 동일한 전하량을 지닌다.[16]
타우 입자는 렙톤 중 유일하게 강입자(하드론)로 붕괴할 수 있는데, 이는 다른 렙톤들에 비해 질량이 충분히 크기 때문이다. 붕괴는 약한 상호작용에 의해 일어나며, 평균 수명은 약 0.3피코초(ps)이다. 렙톤 수 보존 법칙에 따라, 타우 입자가 붕괴할 때는 항상 타우 중성미자가 생성된다.[10]
타우 입자는 전기소량과 같은 음의 전하와 1/2의 스핀을 가지며, 그 반입자인 반타우 입자는 전기소량과 같은 양의 전하와 1/2의 스핀을 갖는다.
3. 붕괴
3. 1. 붕괴 방식
타우 입자는 강입자로 붕괴하는 유일한 렙톤이다. 타우 입자 및 강입자의 붕괴 과정은 약한 상호작용에 의해 일어난다.[10] 렙톤으로 붕괴할 때에는 타우 중성미자가 생성된다.[10]
타우 입자의 붕괴 비율은 다음과 같다.[2]
4. 발견
타우 입자는 1974년과 1977년 사이에 SLAC-LBL의 마틴 루이스 펄 연구진이 발견하였다.[19] SLAC은 SPEAR이라는 전자 및 양전자 충돌 장비를 보유했으며, LBL은 자기 관측기를 보유하고 있었다. 이 기기들을 이용하여 렙톤, 하드론, 광자를 서로 구분하는 것이 가능했다. 연구진은 타우 입자를 직접 관측하지는 못하였지만 다음과 같은 이상한 과정을 관측하였다.
:관측되지 않은 입자
처음의 에너지가 마지막까지 보존되지 않는다는 점에 미루어 관측되지 않은 입자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뮤온이나 전자, 혹은 하드론이나 광자 등은 관측할 수 없었다. 후에 이러한 현상은 새로운 입자의 생성 및 붕괴를 중간 과정으로 거친다고 다음과 같이 제안되었다.
:
이후 DESY-Hamburg와 DELCO에서의 연구가 타우 입자의 질량 및 스핀을 측정하였다.
1995년 마틴 루이스 펄과 프레더릭 라이너스는 각각 타우 입자와 타우 중성미자를 발견한 공로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하였다.[20]
타우 입자에 대한 탐색은 1960년 안토니노 지치치가 이끄는 볼로냐-CERN-프라스카티(BCF) 그룹에 의해 CERN에서 시작되었다. 지치치는 현재 타우라고 불리는 새로운 순차적 무거운 렙톤에 대한 아이디어를 떠올렸고, 탐색 방법을 고안했다. 그는 1969년 ADONE 시설의 가속기가 가동되자마자 실험을 수행했지만, 그가 사용한 가속기는 타우 입자를 탐색할 만큼 충분한 에너지를 갖추지 못했다.[4][5][6]
타우는 1971년 융수 차이의 논문에서 독립적으로 예상되었다.[7] 이 발견에 대한 이론을 제공하면서, 타우는 스탠포드 선형 가속기 센터(SLAC)와 로렌스 버클리 국립 연구소(LBL) 그룹에서 마틴 루이스 펄과 그의 동료 차이 사이에 1974년에서 1977년 사이에 일련의 실험을 통해 감지되었다.[8] 1975년, 펄 그룹은 "전자-양전자 소멸 현상에서의 이상 렙톤 생성의 증거(Evidence for Anomalous Lepton Production in e+e- Annihilation)"라는 제목으로 스탠퍼드 선형 가속기 센터(SLAC)의 SPEAR 전자-양전자 충돌형 가속기를 사용한 실험에서 "전자(양전자), 반뮤온(μ 입자)과 2개 이상의 측정이 되지 않는 입자"의 생성 현상이 64건 보고되었다고 발표했다.
5. 성질
타우 입자는 전기소량과 같은 음의 전하와 1/2의 스핀을 가지며, 그 반입자인 반타우 입자는 전기소량과 같은 양의 전하와 1/2의 스핀을 갖는다.[16] 정지 타우 입자의 질량은 1776.99MeV (양성자의 약 1.89배)이다.
6. 이국 원자
타우 입자는 다른 전하를 띤 소립자와 결합하여 이국적인 원자를 형성할 수 있다. 그 중 하나는 반타우 입자와 전자로 구성되는데, Tauonium|타우오늄영어이라고 불린다.[11]
또 다른 하나는 오늄 원자인 Ditauonium|디타우오늄영어 또는 True tauonium|진타우오늄영어이라고 불리며, 수명이 짧은 두 개의 (반대 부호) 타우 입자로 부터 형성하기가 어려워 감지하기가 어렵다.[12] 실험적 검출은 양자 전기역학에 대한 흥미로운 시험이 될 것이다.
참조
[1]
서적
Leptons and Quarks
North-Holland Publishing
[2]
간행물
Review of Particle Physics
http://pdglive.lbl.g[...]
[3]
간행물
Tau air showers from Earth
[4]
서적
History of Original Ideas and Basic Discoveries in Particle Physics
Springer
[5]
서적
In search of the ultimate building blocks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서적
The origin of the third family: in honour of A. Zichichi on the XXX anniversary of the proposal to search for the Third Lepton at Adone
World Scientific
1998
[7]
간행물
Decay correlations of heavy leptons in e+ + e− → {{math|ℓ}}+ + {{math|ℓ}}−
1971-11-01
[8]
간행물
Evidence for anomalous lepton production in {{SubatomicParticle|Positron}}{{SubatomicParticle|Electron}} annihilation
[9]
conference
Evidence for, and properties of, the new charged heavy lepton
http://slac.stanford[...]
2021-03-25
[10]
간행물
Non-standard interactions
http://www.ncp.edu.p[...]
[11]
간행물
Ditauonium spectroscopy
[12]
간행물
Prospects for ditauonium discovery at colliders
[13]
서적
Quarks and Leptons
North-Holland Publishing
[14]
간행물
Evidence for Anomalous Lepton Production in {{粒子の記号|p}}{{粒子の記号|e}} Annihilation
http://prola.aps.org[...]
[15]
간행물
Review of Particle Physics
http://link.aps.org/[...]
[16]
conference
Evidence for, and properties of, the new charged heavy lepton
http://slac.stanford[...]
[17]
저널
CODATA Recommended Values of the Fundamental Physical Constants: 2010
http://physics.nist.[...]
[18]
저널
http://pdg8.lbl.gov/[...]
[19]
저널
[20]
웹인용
1995년 노벨 물리학상
http://nobelprize.or[...]
2006-01-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